[서울신문] “공동체의 고통 외면하는 건 종교 본연의 기능에 어긋나”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09-06-25 16:27 조회7,033회 댓글0건본문
“공동체의 고통 외면하는 건 종교 본연의 기능에 어긋나” | ||||
무한한 자비심을 상징하는 지장보살(地藏菩薩)은 고통받는 중생이 하나라도 남아 있는 한 먼저 부처가 되지 않겠다고 서원(誓願)을 했다. 그 서원처럼 여러 출가인들이 세상의 고통을 함께 나누고자 산속 사찰이 아닌 거리에서 보살행을 했다. 실천불교전국승가회 대표 법안(49) 스님도 이런 수행의 길을 걷고 있다.
| ||||
|
“문수 보살이 몸져 누운 유마 거사를 찾아 가 ‘당신의 병은 왜 생겼나?’하고 묻습니다. 그랬더니 유마가 하는 말이 ‘내 병은 중생을 향한 대자비심이 원인이다.’하고 대답을 하죠.”
중생이 고통스러워하니 수행자가 거기에 등돌릴 수가 없다는 뜻이다. 이어 “출가자는 사회 문제에 간섭해서 안 된다는 건 종교를 잘못 이해한 것”이라면서 “종교 역시 사회 공동체의 한 요소인데, 공동체의 고통을 외면하는 건 종교 본연의 기능에 어긋난다.”고 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불교는 물론 각 종교계의 사회참여는 당연하다는 것. “종단에서는 수행하는 수좌들조차도 사회 속에서 중생과 아픔을 함께 해야 한다는 동체자비심(同體慈悲心)을 가지고 있다.”고 부연했다. 수행에 전념하는 하안거 기간 중인데도 시국선언에는 1500명 가까운 스님이 동참을 했다는 예도 들었다.
하지만 역시 수행자의 한 사람으로 세속의 움직임과는 또다른 선을 긋는다. “종교계의 사회운동은 분명 수행적인 기반을 바닥에 갖고 있어야 합니다. 그걸 놓치면서까지 큰 목소리를 내려 해서는 의미가 훼손될 수밖에 없습니다.”
그가 바라는 세계는 간단하다. “자기 본연의 역할을 잘 하면 서로 딱히 언성 높일 일이 없다.”면서 “정부는 국민의 행복을, 종교는 깨달음의 길을 열어 주는 일을 해 나가면 된다.”라고 했다. 아울러 “중생의 고통과 함께 하는 것이 수행자의 덕목”이라는 말과 함께 깨달음의 길에 대한 물음에 유마경의 한 구절로 답한다. “보살의 불국토는 바로 중생이라는 국토입니다.”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